이승만 정부는 과거 좌익 활동에 가담했던 전향자들을 보다 쉽게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해 ‘국민보도연맹’을 조직하고 가입을 유도했다. 1949년 말까지 연맹원 수는 약 30만 명에 달했고, 그뿐만 아니라 좌익에 동조한다고 여겨지는 이들까지 한국전쟁 발발 이후 ‘국가안보를 위협할 수 있는 잠재적인 적’으로 간주되었다. 이들은 정당한 재판 절차조차 없이 연행되어 구금되고, 처형되었다.
예비검속으로 끌려간 민간인 희생자 대다수는 좌익 사상을 가졌거나 그럴 가능성이 있다는 의심만으로 학살당했다. 이러한 학살은 주로 전쟁 초기 군경이 후퇴하는 과정에서 무차별적으로 이루어졌고, 그 대상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았다. 전세가 역전되어 북한군이 후퇴한 이후에는 적군에 부역했거나 그렇게 의심받은 이들을 상대로 한 보복적 성격의 학살이 반복되었다. 한국전쟁 기간 동안 이처럼 학살된 민간인의 수는 관점에 따라 30만 명에서 최대 100만 명까지 추산된다.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 희생자들의 유해 발굴은 제1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활동 중 일부 이루어졌으나, 위원회 활동 종료 이후 정부의 추가 조사나 발굴은 중단되었다. 이에 시민들과 시민단체가 자발적으로 ‘한국전쟁기 민간인 희생자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을 결성하고 직접 발굴에 나섰다. 공동조사단은 2014년 경남 진주시 명석면 용산고개에서 첫 발굴을 시작해, 2022년 충북 단양군 영춘면 ‘곡계굴 미군 폭격 희생자’ 발굴까지 총 11차례의 유해 발굴을 진행하고, 수습된 유해에 대한 인류학적 조사도 완료했다.
2020년 출범한 제2기 진실·화해위원회가 다시 매장지 조사와 유해 발굴을 재개하면서 공동조사단의 활동은 이전보다 축소되었지만, 참여 방식이나 활동 형태를 바꾸어가며 여전히 발굴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적법한 재판 절차 없이 이렇게 많은 사람을 학살할 수 있는가?”
“왜 희생자와 유가족들은 가해자의 사과는커녕, 억울함과 슬픔을 표현하는 일조차 사회적 금기가 되었는가?”
“학살 피해자들의 유해가 매장되어 있거나 그렇게 추정되는 장소들은 왜 지금까지 방치되어 있는가?”
공동조사단의 활동은 바로 이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에서 출발했다. 이 질문들은 수십 년간 증언과 기록 속에만 존재하던 사건의 구체적인 장면과 증거들을 실제 발굴을 통해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 계기가 되었다.
발굴을 통해 수습된 각 부위의 뼈와 유품(비녀, 유리구슬 등)은 희생자의 성별과 연령을 파악하는 주요 단서가 된다. 또한 희생자를 결박했던 도구, 현장에서 출토된 탄피와 탄두는 그동안 기록이나 증언으로만 전해지던 가해자를 추정하거나 입증하는 물적 증거이기도 하다.
이러한 유해 발굴은 단순히 과거의 사건을 복원하는 작업을 넘어서, 땅속 깊이 묻혀 있던 이들의 존재를 현재의 지표면으로 끌어올려 위로하고 기리는 ‘제의(祭儀)’의 성격을 지닌다. 동시에, 타의에 의해 지워진 이들의 이름을 계속해서 불러냄으로써 이들이 사람들의 기억 속에 머물 수 있도록 만드는 ‘기억의 행위’이기도 하다.
“부역혐의로 아버지가 연행되어 가신 후 3일간 다른 사람들과 붙잡혀 계신 면사무소 창고로 도시락을 가져다드렸어요. 그마저도 직접 건네드리지 못하고 문 앞을 지키던 치안대원에게 전해주고 돌아왔습니다. 4일째 되던 날 도시락을 가져가니 이제 가져올 필요가 없다고 하더군요. 어린 시절이라 별생각 없이 도시락을 들고 집으로 돌아오니 제 이야기를 들은 형이 대성통곡했습니다. 돌려보낸 도시락을 보고 형은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걸 안거에요.”
“산내 유족회 전숙자 회장의 아버지는 살인 누명을 쓰고 민간인 신분으로 위법하게 군사재판을 받아 대전형무소에 수감됐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군경은 대전형무소 재소자들을 대전 산내 곤룡골로 끌고 가 학살했고 전숙자 회장의 아버지도 끌려와 돌아가셨다. 전숙자 회장은 아버지의 무죄를 입증하기 위해 군사법원이 아버지를 가해자로 지목한 살인 사건의 피해자 유족과 당시 마을 이웃들을 수소문해 얻은 증언과 자료를 바탕으로 아버지가 돌아가신 지 62년 만에 무죄를 입증했다.”
"제가 동굴(단양 곡계굴) 안에서 너무 자지러지게 운 거예요, 다른 피난민들의 눈총을 받으니 쫓겨나다시피 동굴에서 나와 저를 데리고 서둘러 다른 곳으로 피신하셨어요, 그 덕에 미군 폭격에서 화를 면했습니다. 하지만 동굴에 남아있던 가족들은 모두 목숨을 잃었습니다."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