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지촌 여성들, 잊혀진 목소리
한국전쟁 이후 주한미군의 주둔과 함께 전국 각지에는 미군 기지를 중심으로 ‘기지촌’이 형성되었다. 이곳은 단순한 거주지가 아니라, 미군을 상대로 한 윤락 산업의 중심지로 기능했다. 이곳에서 일한 여성들은 ‘양공주’, ‘양색시’라는 모욕적인 이름으로 불리며 사회적 멸시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이들을 향한 시선과는 달리, 정부는 이 여성들을 외화를 벌어들이는 ‘산업 역군’으로 추켜세우기도 했다. 기지촌 여성들은 사실상 ‘미군위안부’로서 국가와 군사동맹 유지의 도구가 되었으며, 많은 여성들이 취업 사기, 인신매매 등을 통해 강제로 유입된 경우도 적지 않았다. 자발적인 선택으로 보이지만, 구조적으로는 강제성과 착취가 깊이 얽혀 있는 복합적인 현실이었다.
1970년대 들어 미국은 주한미군의 주둔 조건으로 기지촌 환경 개선을 요구했고,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기지촌 정화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지촌 여성들은 더욱 철저한 관리와 통제의 대상이 되었다. 정부는 이들에게 성병 검사를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미군 접대를 위한 교육을 실시하는 등 사실상 제도적인 성 산업을 운영한 셈이다.
기지촌 여성들은 오랜 시간 동안 침묵을 강요당했다. 사회적 낙인은 그들에게 말할 권리조차 쉽게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들은 하나둘씩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누군가는 "개인의 선택"이라 말할지 모르지만, 때로 역사는 개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그들을 특정한 삶으로 내몬다.
그들은 단순한 역사적 존재가 아니다. 지금도 여전히 살아 있으며, 자신들의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이제는 우리가 그 이야기에 귀 기울여야 할 때다.
Back to Top